기획서란 무엇일까

 ・ 15 min

photo by Anantha Krishnan on Unsplash

이 글은 사업을 하기 위해 기획하라는 얘기가 많아서 기획은 무엇이고 기획서는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인터넷을 찾아 정리해 봤어요.

기획서란 기업에서 하는 일을 문서로 남겨 구체적인 계획을 정리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공유하기 위해 작성해요.

기획이란 어떤 문제점이나 과제에 대해 벌어지고 있는 일과 현상을 분석하고 해당 문제점이 해결할 가치가 있는지, 이 문제가 해결된다면 어떤 영향이 있는지,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있는지 같은 항목들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정한 가설을 해결방법을 통해 기대하는 이익과 결과를 일로써 수행하기 전에 미리 예상해보는 거예요. 기대보다 이익이 크거나 결과가 좋다면 이 일을 더 열정적으로 할 수 있고 함께할 사람들을 모집할 수 있어요.

기획의 단계

  1. 문제점 및 개선안 발생
  2. 문제 및 과제의 확인
  3. 문제 및 과제의 검증 / 현황분석
  4. 해결방안 도출
  5.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
  6. 기획서 작성

기획서를 작성하기에 앞서 필요한 사전준비#

구성 설명 목적
WHY 왜 기획을 진행하며 그 목표는 무엇인가?기획을 통해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가? 기획의 배경기획 목표
WHAT 기획 내용은 무엇인가? 기획의 내용
HOW 기획은 어떠한 방법으로 진행되는가? 기획방법
WHO 기획의 관계자 혹은 담당자는 누구인가? 담당자관계자
WHEN 기획의 진행시기는 언제이며 기간은 얼마나 걸리는가? 기획 시기기획 기간
WHERE 기획은 어디서 진행되는가? 기획장소
HOW MUCH 기획을 진행하기 위해선 어느 정도의 예산이 필요한가? 기획 예산

보고서 작성 원칙 (5W3H)

구성 설명 목적
WHO 누가, 누구를 위한 기획인가? 실행자, 관련자
WHY 왜 이 기획이 필요한가? 기획 의도, 이유, 배경
WHAT 무엇을 위한 기획인가? 기획의 주제, 내용
WHERE 어디서 실시하는가? 지리적, 자연적인 환경장소
HOW 기획을 어떻게 실천, 추진할 것인가? 방법, 절차, 도구
HOW MUCH 얼마나 비용이 드는가? 예산, 손익계산
WHEN 언제부터, 시작할 것인가? 어떤 일정으로 실행? 타이밍, 기간
HOW LONG 언제부터, 지속될 것인가? 진행 기간, 활성 기간

기획 진행 순서, 방법
기획서를 작성하기 전 기획을 먼저 정리해야 해요.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거나 조금 달라질 수 있어요.

  1. 과제의 인식
    과제의 방향 찾기, 현상 분석, 원인 분석, 조건 검토, 요구사항, 니즈 분석 등을 하는 단계
  2. 정보의 수집 및 분석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단계
  3. 발상, 구상
    필요한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해결방안을 찾아내는 단계
  4. 기획서 작성 단계
    문서를 작성하고 표현하는 단계. 문서의 종류는 기획서, 제안서, 보고서, 품의서 등의 형태로 작성
  5. 보고 단계
    발표는 기획의 유형에 따라 달라짐. 표현의 방법도 보고, 설득, 정보 제공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

기획서 작성 시 유의사항

  1. 마지막에 결론을 정확하게 작성하며 전체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한번 더 정리해야 해요
  2. 디자인이나 내용이 빽빽하게 채워져 있게 보여서 안 되고 너무 없어 보여도 안 돼요
  3. 산만함보다 간결함을 먼저 하고 레이아웃을 세련되고, 통일되게 작성해야 해요
  4. 표나 이미지 등을 직접 만들거나 전체적인 분위기와 어울리도록 사용해야 해요
  5. 전체적인 방향성, 기획서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이 기획 의도와 일치해야 해요
  6. 기획서를 보는 사람, 의뢰자, 담당자 입장에서 작성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만들어져야 해요
  7. 예상 질문이나 의문 사항에 미리 답변을 작성해요
  8. 개인적인 경험, 생각, 주관이 섞인 의견이 아닌 데이터를 놓고 설득해야 해요

기획서의 기본구성#

표지부

구성 설명
명칭입안자 마케팅 기획서 / 제안서 / 전략보고서대표자 / 개인성명 / 팀명 / 팀원성명 등
머리말 인사말 / 서문 / 기획의 경위 등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작성
목차 장, 절 등으로 기획서의 순서를 명시

도입부

구성 설명
기획목적기획배경 경영방침 / 경영전략 / 경영정책 및 절차 등의 적절한 구성기획의 목적과 목표, 이유 등을 기술한다.
기대효과 인사말 / 서문 / 기획의 경위 등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작성
목차 실행결과의 기대효과 및 예측효과, 미치는 영향 등을 기술

본론부

구성 설명
기획내용 해결방안 / 구상안 제시(구상안이 많을 땐 장단점 비교)기획실행을 위한 전략 / 방법 / 수단제시
실시계획 실시를 위한 조직화 계획 / 세부작업계획 / 일정계획 등을 정리
예산 기획예산 / 소요경비의 산출 / 자금조달 방법

보조부

구성 설명
환경변수에 대한 대책 기획 추진 시의 문제점문제에 대한 대책수립
관계자료 기획 입안을 위한 조사자료 및 통계자료 / 참고문헌 등

기획서 작성법 실전 3단계#

  1. 설정 - 사전 밑그림을 그리자
  2. 구성 - 기본 뼈대를 잡자
  3. 페이지 작성 - 각 페이지 본문을 작성하자

설정 - 사전 밑그림 그리기#

  1. 기획서의 작성 방향 설정
  2. 기획서의 옵션 설정
  3. 기획서의 설득 방향 설정

기획서의 작성 방향 설정
어떤 형식으로 가야 할지 미리 방향을 생각해 보고 정하는 거예요.
본인이나 회사의 상황만 판단해서 기획서를 작성하지 말고 주변 상황(업계, 시장 분위기 등)과 기획서를 볼 사람의 유형과 상황, 경쟁력 유무 파악해야 해요.
만약 기획서가 부실하다면 부실한 데로 두기보다는 개선점이나 메꿀 수 있는 부분이 기획서에 적혀있어야 해요.

기획서의 옵션 설정
환경적인 부분(재정 상태, 비전, 방향성, 아이템과 외부 상황 등) 정리와 필요한 전제조건(기획 실행에 필요한 자원들)을 확인하기.
확인해야 할 것들과 핵심적인 내용들을 확인하고 기획서에 넣도록 미리 정리와 정의를 해야 해요.

기획서의 설득 방향 설정
이미 90% 정도 관심이 있어서 무슨 얘기를 하든 설득될 사람이 아닌 사람에게 보여줄 기획서를 만드는 것이 아니에요. 본인의 기획에 관심이 없는 사람인 애초에 부정적인 사람을 설득하는 거예요.
당연히 설득하려고 만든 것이기 때문에 설득하게끔 만들어야 해요. 뭐 하러 설득되지도 않는데, 이렇게 열심히 만들 필요가 있을까요? 지금 해야 할 다른 일들이 많은데요.

기획서 작성의 방향을 정하기 위해 확인해 볼 세가지가 있어요.

  1. 기획서의 설득 유형 정하기
  2. 기획서에 내세울 아이템 점검하기
  3. 설득의 소구 검토하기

기획서의 설득 유형 정하기
읽는 상대방이 기획서에서 어떤 부분을 느끼고 끌릴 것인가를 말해요.
"내가 바란 게 이거야…!", "나는 그다지 끌리진 않지만, 그런 사람이 많을 것 같네.", "돈 좀 되겠는걸.", "다른 사람들이 혹하기는 하겠다.", "참신하네."

어떻게 설득할 사람을 이 기획서에 가둬두는가를 생각해 보세요.

기획서에 내세울 아이템 점검하기
설득할 유형이 정해지면 아이템에 대한 부분도 점검해요.
내 아이템의 어떤 기능, UI나 강점 or 아이디어가 설득 요소로 사용될 수 있는지 생각해야 해요.
큰 고민 없이 하나의 기능을 정해서 쓰다가 "이거 별로 안 먹힐 것 같은데…." 하는 생각이 들면 안 먹히니 바꿔야 해요.

설득의 소구 검토하기
설득될 사람이 어떤 감정을 느끼게끔 할 것인지를 분위기를 정해요.
두려움, 경각심, 기대감, 매력 등 정해진 소구에 따라 전달하는 Tone & Manner가 달라져야 해요.

구성 - 기본 뼈대를 잡자#

직접적인 뼈대는 목차를 말하지만, 그 뼈대를 구성하기 전 기획서의 전개(내용을 진전시키는 것. 고구마 전개나 사이다 전개)를 구성해야 해요. 이를 위해 두괄식과 미괄식 표현을 알아야 해요.

소설의 기승전결과 비슷하지만, 승부수를 두기 위한 위치를 어디에 두는지 정해야 해요.
두괄식 표현은 앞에서부터 결론을 터트리고 나서 왜 그런 결론인지 설명하는 과정을 거쳐요.
미괄식 표현은 문제 제기부터 해결책 같은 순서로 마지막에 자사 아이템을 소개하는 과정을 말해요.

전개 구도를 설정했다면 이제 목차를 만들면 돼요. 목차는 이정표와 같아요.
우리가 어디로 가야 할지를 알려주기 때문에 목차가 잘 나왔다면 내비게이션처럼 도착지를 잘 갈 수 있어요.
목차를 어떤 이유로 기획서에 넣지 않더라도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선 만들어놔야 해요.

내용은 영어로 Content
목차는 Contents, Table of contents, List of contents

목차는 잘 잡기가 어려워요. 목차를 잘못 잡으면 어떻게 되는지, 기획서를 작성하는 도중 이와 같은 상황을 만날 수 있어요.

  1. 전체 파악이 안 됨. 결국 뭘 얘기하는지 모르겠음
    목차를 잡지 않으면 기승전결을 만들어내기가 어려워요
  2. 전부 고치거나, 다시 만들어야 함
    느슨한 연결이 아닌 강한 결합이어서 현재 장표를 바꾸면 이전 장표와 말이 달라지거나 이어지는 느낌이 안 들어서 변경이 될 수 있어요. 이어지는 느낌은 단계적으로 항목마다 진행된다는 느낌으로 대체할 수 있어요
  3. 추가적인 장표나 수정사항에 대응이 어려워짐.
    중간에 추가 요구사항이 들어오는 경우, 목차가 잘 정리되지 않으면 어디에 이걸 넣으면 좋을지 애매할 때가 있어요

목차를 잘 만드는 방법
기승전결을 이끌어낼 내용이 너무 없어도 문제지만 내용이 너무 많아 쓸 내용이 많아도 문제예요.
데이터가 없다면 생각과 조사를, 데이터가 많다면 가지치기를 통해 중요한 내용을 선별해요.

  1. 큰 덩어리로 나눠보기
  2. 부분집합과 교집합 골라내기
  3. 줄 세우기

큰 덩어리로 나눠보기
덩어리끼리 비등비등한 크기로 느껴져야 해요.
소프트웨어 개발로 나누면 기획, 개발, 디자인, 테스트, 배포, 운영 등 이런 단위로 볼 수 있어요.
이런 덩어리급 정하기는 AI에게 질의하거나 검색을 통해 해결하면 도움이 돼요.

부분집합과 교집합 골라내기
집합이란 내용이 같은 것끼리 묶여있는 거예요.
이미 대강 설명한 내용을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처럼 지루한 건 없어요.
이런 부분적으로 겹치는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선 한쪽에 치우치게 해요.

줄 세우기
건물 모형처럼 한번에 시각적으로 여러개를 보여줄 수 없고 이를 한 번에 설명하기도 어려워요.
내용이 이어지면서 차근차근 하나씩 뜯어가며 설명해야 해요.
한장 한장 말하는 순서와 이어지는 순서가 흐름대로 연결되어야 어색하지 않고 상대방도 이해하기 쉬워요.
샤워 후 옷을 입을 때(샤워하는 흐름, 옷을 입기 전까지 드라이와 화장품 바르기, 옷을 입는 순서) 순서가 존재하듯이 정해진 기준을 갖고 상하 개념이 무너지지 않도록 정해야 해요.

페이지 작성 - 각 페이지 본문을 작성하자#

목차를 정했으니, 기획에 어려운 부분을 하나 해결했어요.
물론 페이지 작성에도 순서가 있어요.

  1. Pagenation
  2. 핵심 워딩 만들기
  3. 페이지의 요소 이해하기
  4. 페이지의 본문 작성하기

Pagenation
큰 덩어리별로 얼마큼의 페이지가 할당되어야 하는지 구분하는 것이에요. 큰 덩어리들이 많다면 페이지 수도 많아지게 돼요. 큰 덩어리를 하나의 페이지에 나타내려고 하면 한장이 복잡해지거나 텍스트가 많아서 와닿지 않을 수 있어요. 중요하지 않은 곳에 많은 페이지를 할당하게 되면 기획의 의도에서 벗어나게 돼요. 페이징은 밸런스 게임이에요.

핵심 워딩 만들기
각 페이지마다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간단한 문구로 정리가 되어야 해요.
이를 간과하면 쉽게 말할 수 있는 걸 어렵게 말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것을 중요하게 말할 수 있어요.

핵심 워딩을 만들게 되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1. 페이지마다 무엇을 써야 할지 명확해져요
  2. 각 페이지에서 뽑아낸 워딩을 모두 연결하면 기획서에서 말하고자 하는 스토리가 바로 나와요
  3. 뽑아낸 워딩들을 연결해 보면 어디가 빈약한지 티가 나서 부족한 곳을 보강할 수 있어요
  4. 핵심 워딩을 만들고 연결하고 나면 기획서 요약이 쉬워져요

페이지의 요소 이해하기#

각 페이지마다 무엇을 채우면 좋을지 고민하는 부분이에요.
페이지를 이루는 구성 요소는 크게 글, 그림, 표, 인포그래픽이에요.


글이 하나도 없는 페이지가 있을까요? 그렇다면 그건 핵심 페이지가 아닐 거예요. 무슨 글을 쓰는지는 정하기 어렵다면 아래에서 고르면 돼요.

  1. 핵심 워딩이 포함된 주제를 알려주는 글
  2. 주제를 설명하는 글
  3. 단순 정보를 명시하는 주석과 같은 글


담아야 하는 내용이 너무 많을 때 보기 좋은 가이드를 통해 정렬하는 거예요.
페이지에 표만 덩그러니 놓아서는 안 돼요. 기획서에 표는 확인용이지 설득 대상이 분석하는용이 아니에요.
표에서 알 수 있는 내용을 간추려 글로 표현해야 해요.

그림
의미 없는 그림은 피하고 페이지와 연관된 내용에 이미지를 삽입하면 이해를 도울 수 있어요.
그림은 효과가 크니 자주 사용될 수 있지만 각 페이지와의 연관성도 고려해야 해요.

인포그래픽
인포그래픽이란 정보를 더 잘 와닿게 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표현한 거예요.
다이어그램, 그래프 등도 인포그래픽의 범위 안에 포함돼요.
너무 많으면 정신없고 집중을 흐리기 때문에 적절하게 사용해야 해요.

페이지의 본문 작성하기

  1. 핵심 문장을 적어요
  2. 핵심 문장을 뒷받침하는 페이지 4요소 자료를 모두 다 넣어요
  3. 하나씩 최소한으로 필요한 것만 추려서 내버려두고 나머지는 빼내요
  4. 내용이 잘 보이도록 디자인을 편집해요

하나의 페이지를 10분씩 읽는지, 사람들의 집중이 얼마나 가는지를 고려하면서 기획서를 작성해야 해요. 정성이 갸륵해서 열심히 봐주더라도 집중은 깨질 거예요. 오히려 페이지별로 1, 2개의 정보가 정리되는 편이 상대방을 배려하는 거예요. 시간이 나면 기획에 관한 오해와 진실, 기획서 작성법 기초 이론1을 보는 것도 추천할게요.


기획서의 구성#

  1. 기획 배경
  2. 현황 분석
  3. 기획 핵심/내용
  4. 실행 전략/방법
  5. 기대효과

기획 배경
기획을 시작하게 된 이유를 정리해요. 저는 개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싶었어요. 시스템이 도와주지 않으면 저 스스로가 바뀌기 어려웠어요.

현황 분석
그 이유와 관련된 현재 상황을 파악해요. 경쟁사는 있는지, 시장 규모와 상황은 어떤지, 나와 회사 상황은 어떤지, 얼마큼 해낼 수 있는지를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면밀히 확인해 봐요.

기획이 필요한이 이유를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입증(Why)하고 어떻게 얼마큼 해결이 가능한 해결책을 소개(So what)해야 해요.

기획 핵심/내용
저 같은 경우는 제가 생각한 문제점을 다 해결해 주는 슈퍼앱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그러나 많은 것을 적으면 특정 문제에 대한 집중도가 낮아지고 한 번에 다 할 수 있는 자원을 가지지 못했으니 조절할 필요는 있어요.
문제점 중 공통된 점을 키워드로 뽑아내는 작업을 해서 단순화시킬 필요가 있어요.

실행 전략/방법
실행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말하느냐에 따라 범위가 달라져요. 어느 단계에 기획서냐에 따라서도 실행 전략은 달라져요. IT 산업에서는 크게 예산 소요, 마케팅 계획, 소프트웨어 개발 계획으로 나눌 수 있어요.
중요한 것은 많이 따라 하는 방법을 잘 실행하는 것과 다른 곳과 비교해도 손색없는 아이디어와 비용 대비 효과를 얻어낼 창의적인 방법을 제시해 기획서를 읽는 사람들을 만족시키는 거예요. 그러면서도 소비자에게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줘야(What) 해요.

기대효과
이 기획을 실행시켜서 얻을 효과. 브랜드 확보인지, 이윤 창출 or 증가인지, 잠재 고객 확보인지 여러가지 기획에 따라 다른 결과를 얻어낼 수 있어요. 그리고 분명히 하다보면 기대하지 못했던 긍정적인 효과는 일어날 거예요.

참고자료#


You cannot have a positive life and a negative mind.

— Joyce Meyer


Other posts
cover_image
 ・ 12 min

여분 차원과 암흑 물질

cover_image
 ・ 2 min

Freezed에서 Invalid argument 해결하기

cover_image
 ・ 4 min

Flutter에서 가상키보드로 인한 RenderFlex overflow 해결하기